불면증이 생기는 원인
인간의 3대 욕구에 속하고 있는 수면욕. 그만큼 사람들은 수면에 대한 갈망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잠을 잘 못 자게 되면 굉장히 예민해지고 무기력해지기 쉽습니다. 때문에 잠에 쉽사리 들지 못하는 사람들은 베개에 머리만 대도 잠을 잘 자는 사람들을 부러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불면증에 시달리게 되는 원인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나,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행동들을 짚어보려고 합니다.
- 우울증 -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불면증에 관련된 치료법을 병행하였더니 80% 이상이 우울증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하니, 우울증이 불면증을 불면증의 원인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 마음이 불안하고 잡생각에 잠을 못 드는 분들을 주변에 많이 보실 수 있는데, 보편적으로 이런 분들이 새벽 늦게까지 잠을 못 자고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다가 출근하여 회사에서 밝지 못한 모습으로 지내는 모습을 많이 보았습니다.
- 대인관계 - 현대사회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보다는 사람과의 관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시는 분들이 더 많습니다. 이런 이유 때문인지 퇴근을 하고 마음 편히 쉬지 못하고 다음날 출근을 걱정하며 잠을 설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잠들기 전 핸드폰사용 - 잠에 들기 전 과도하게 핸드폰을 사용하다 보면 잠이 달아나 늦은 새벽까지 핸드폰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. 핸드폰에는 워낙 재밌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잠에서 깰 수 있는 요소가 많습니다.
불면증 증상
불면증의 증상은 잠들기까지 30에서 1시간 이상 걸린다거나, 잠에 깊게 들지 못해 자주 일어나게 될 때 불면증 증상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. 또한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와,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만성 불면증으로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.
단기불면증
- 과도한 운동으로 생기는 근육통처럼 육체적으로 불편한 상황일 때 단기적으로 수면에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.
- 과도한 낮잠으로 생기는 불면증인데, 아무래도 낮에 많은 시간을 자게 되면 생체리듬이 깨지기 때문에 밤에 자야 할 때 잠에 못 드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 낮잠이 쏟아질 때에는 장시간 잠에 들지 말고 짧은 시간 잠을 청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
- 과도한 업무의 압박 때문에 걱정이 되어 잠을 못 드는 경우도 있지만, 이러한 경우는 업무가 해결되고 나면 그 이후 불면증이 해결되기 때문에 단기적인 형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.
만성불면증
- 일주일에 3회 이상, 3개월이 지나도록 불면증 증상들이 지속이 되는 경우입니다.
- 메스꺼움, 예민성을 동반하는 행동들, 운동부족, 잦은 카페인섭취 등이 만성 불면증에 속합니다.
개인적으로 가까운 사람이 만성 불면증을 겪으면서 지냈는데 잦은 걱정이 많고, 운동량은 부족하였으며, 물 섭취량이 적고 카페인 섭취량이 많았습니다. 잠을 잘 못 자기 때문에 상당히 예민해져 있고 날이 서있는 생활을 이어갔습니다. 이런 생활을 계속 이어간다면 사람이 정신적으로 피폐해지기 쉽기 때문에 극복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. 그 노력으로 어떠한 것들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극복하는 법
불면증을 극복하는 방법은 상당수가 알려져 있지만, 대표적인 방법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.
- 수면안대착용 -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pm23:00~ 24:00부터 분비되다가 am03:00에 최고조로 분비된다고 하는데 이때 중요한 점이 미세한 밝기에 노출이 되어도 분비량이 확 떨어진다고 합니다. 이렇기에 수면안대 착용은 불면증 극복에 도움이 됩니다.
- 베개 - 아무리 몸이 피곤하여서 잠을 청하고 싶어도 베개가 너무 불편하다면 잠이 깰 가능성이 있습니다. 베개의 역할은 머리를 잘 받쳐줘 목 주변 근육 긴장도를 떨어트려 수면에 도움을 줍니다. 베개의 높이는 개인적인 편차는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남성분들은 8cm, 여성분들은 6cm 높이의 베개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- 수면제 - 너무 심한 불면증에 시달리시는 분들은 전문가의 약 처방에 따른 수면제 복용도 있습니다. 적당량의 수면제를 복용하여 불면증에 도움을 받는 것은 좋지만, 너무 과도하게 수면제에 의존하게 되면 되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점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불면증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입니다. 하지만 잦은 수면부족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긴다면 원인을 파악하고 정확한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의사를 만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줄넘기 운동 효과,주의 사항 (0) | 2023.01.08 |
---|---|
간헐적 단식의 다이어트 장점 (0) | 2023.01.07 |
간 건강 적신호 증상 알아보기 (0) | 2023.01.05 |
제 2의 심장 종아리 근육 (6) | 2023.01.04 |
위 건강에 좋은 양배추 즙 섭취 방법 (0) | 2023.01.03 |
댓글